칼로리 부담없는 다이어트 간식 허기가 지기 시작하는 오후 4시, 어떤 간식을 먹느냐가 다이어트 성공 여부를 결정 짓는다는 사실! 포만감을 높여주면서 다이어트로 인한 스트레스까지 해소시켜주는 저칼로리 간식으로 쉽게 다이어트 하세요. 연두부과일젤리샐러드 ■ 준비할 재료 시판 과일젤리 2개, 연두부 ½팩, 소금 약간, 샐러..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5.09
굶지 않고 살 빼는 칼로리 다이어트 KBS 건강 프로그램 ‘비타민’에서 ‘위대한 밥상’ 코너를 진행하고 있는 숙명여대 한영실 교수가 칼로리를 계산하며 식사해 체중을 17kg이나 줄인 다이어트 체험을 공개했다. 한 교수가 일러주는 건강하게 살 빼는 ‘칼로리 다이어트법’의 모든 것. 매주KBS ‘비타민’에 출연해 건강 식생활에 대해 ..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5.09
채소 색깔에 숨겨진 비밀 채소의 색깔은 각각의 성분과 영양소를 드러낸다. 때문에 특정 색의 채소를 즐겨 먹는 사람은 아무리 많은 양을 섭취하더라도 여전히 부족한 영양소가 있게 마련이다. 꽁꽁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하는 초봄에는 어느 때보다 채소 섭취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 채소에 대한 관심 이제 ‘웰빙’이라는 단..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5.05
장수를 위한 음식 붉은 사과가 유방암 예방 사과에는 섬유질, 칼륨, 비타민C 등 무기질이 많이 함유돼 있고 폴리페놀성분은 성인병을 예방한다. 또 붉은 색 껍질 속에 든 캠페롤과 케르세틴성분은 유방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의 단백질 성분을 차단해 암이더 자라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폐를 보호하는 ..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5.04
누르기만 해도 살빠지는 경혈 자리 살뺴는 경헐자리 얼굴 얼굴에 살이 많은 경우, 피부가 거친 경우, 이중턱인 경우 등 얼굴에 트러블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절대로 지켜야 할 주의 사항은 살을 잡아 뜯지 말라는 것이다. 살이 많다고 얼굴 살을 뜨으면 결국은 피부가 늘어나서 처지게 되기 때문. 얼굴에 자극을 주어 얼굴살을..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5.04
다이어트 클리닉에서 권장하는 음식들 ■ 다이어트 클리닉에서 권장하는 음식들 1 고섬유소 식품(배변을 촉진시키는 음식물)_잡곡, 야채, 과일, 파, 바나나 고섬유소 식품을 많이 먹으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 섬유는 체내의 수분을 흡수한 다음 다른 노폐물과 같이 체외로 배출된다. 대변을 잘 보면 대변이 장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4.27
식욕 줄이는 100가지 방법 식욕 줄이는 100가지 방법 아무래도 먹고 싶은게 있는데 먹을 수 없다면 그것보다도 더 괴로운게 또 있을까요? 무조건 굶는것도 좋지 않으니 식욕을 줄여서 다이어트에 성공해야겠죠? 제가 아는 사이트에서 본 건데요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꼭 성공하시길 빌게요 그리고 다른 정보도 많이 있으니 보..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4.27
걷기가 다이어트에 제일 좋은 이유 다이어트 4원칙(지속성, 소식성, 요요성, 건강성) 첫째 : 날마다 운동해야 살이 빠진다. - 걷기는 저강도 운동이기 때문에 날마다 할 수 있다.(지속성) 둘째 : 적게 먹어야 살이 빠진다. - 걸으면 위가 축소되어 식욕이 없어져 적게 먹을 수 있다.(소식성) 셋째 : 요요현상이 없어야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4.27
15분 순환운동으로 뱃살 걱정 끝 KBS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방송된 <죽음에의 초대, 중년 뱃살> 에 대한 내용이다. 40대의 환자가 급히 병원으로 이송됐다. 병명은 급성 심근경색, 원인은 복부비만이었다. 복부비만은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대사증후군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서 정상인에 비해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발병확률이 3배,..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4.19
건강의 키워드‘발관리’ 건강의 키워드‘발관리’ 심장은 하루에 10만 번 움직여서 피를 전신으로 보내는 작용을 합니다. 그러면 심장에서 가장 먼 발은 혈액을 다시 심장으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요즘들어 현대인들은 발의 움직임이 줄어들면서 피로를 쉽게 느끼거나, 발이 차가워지고 부은 다리를 방치해 비만..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07.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