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 100년전 조부의 한국사랑 전합니다…獨 슈테판씨,유품 기증 헤르만 잔더가 1907년 9월 무악재를 넘다가 찍은 사진. 멀리 북한산이 보인다. “한국에 대한 할아버지의 애정이 이제야 빛을 보는 것 같아 기쁩니다.” 독일인 슈테판 잔더(63) 씨는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국립민속박물관에 전시된 100년 전 ..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09.10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은 1762년(임오년, 영조38년) 음력 6월 16일, 아버지 정재원(荷石 丁載遠)과 어머니 해남 윤씨(海南 尹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곳은 한강 강변 마현 마을이다. 당시로는 경기도 광주군(廣州郡) 초부면(草阜面) 마재(馬峴)이고, 오늘날의 행정구역으로는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08.07
다산의 사상 다산의 학문은 경학(經學)에서 출발한다. 자신의 일생을 회고하면서 쓴 <자찬묘지명>에 “육경(六經)사서(四書)로써 자신의 심신을 수양하고, 일표이서(一表二書)로써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니, 이로써 본(本)과 말(末)을 갖추었다”고 적고 있다. 다산의 학문체계는 경학을 근본으로 하고, 경세학..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08.07
다산 정약용의 생가-여유당 다산 정약용의 생가 - 여유당(與猶堂)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생가와 묘소가 있는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차분히 가라앉은 조용한 마을에 정약용의 생가가 자리잡고 있다. 독서와 서재, 침잠하기에 알맞고 좋다 하여 ‘여유당(與猶堂)’으로 불렀던 본래의 생가는 홍수에 유실되었지만, 1986년..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08.07
아! 숭례문 긴 설명절 연휴가 끝나고 새로운 한 주일이 시작되는 월요일 아침, 글쓴이는 습관적으로 이른 새벽에 일어나 컴퓨터를 켜고 "다음 블로그 뉴스"를 열었습니다. 그런데 "숭례문 현판 떨어지는 순간"이라는 큰 제목이 사진과 함께 눈에 들어왔습니다. "아니, 왜 숭례문현판을 떼어 내지?" 이상한 생각이 ..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02.12
연산군 1. 불운한 출발 조선 제10대왕으로 휘는 '융'이다. 성종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우의정 윤호(尹壕)의 딸로 정현왕후(貞顯王后)이다. 성종에게는 정실 소생으로 뒤에 11대왕이 된 중종이 있었으나, 1483년(성종 14) 연산군이 세자로 책봉될 때에 중종은 아직 태어나기 전이라 그의 무도함을 알면서도 그냥 세..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02.11
남대문의 역사 40년전 남대문... 50년전 한국 전쟁의 포화속에서도 살아 남은 남대문... 80년전 일제 강점기 시절 남대문... 100년전 한일합방 직전..대한제국 시절 남대문... 120년전 구한말 일본인이 찍은 남대문... 2008년의 남대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오늘 남대문...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02.11
내시 조선시대 내시를 막강한 권력 집단으로 묘사한 TV드라마, <<왕과 나>>가 방영 중이다. 정설은 중국에서 는 내시들이 국가 재정이나 군사력 동원 등에 힘을 발휘하기도 했지만, 조선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내시의 기원은 상(商)나라(=은나라)까지 올라간다. 그 시대 유물인 갑골문자에 ..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