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31호--경주 첨성대 [慶州瞻星臺] 경주 첨성대 [慶州瞻星臺] 종 목 국보 31호 명 칭 경주첨성대 (慶州瞻星臺) 분 류 첨성대 수 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인왕동 839-1 시 대 신라시대 소유자 국유 관리자 경주시 국내에 삼국시대의 석조 건축물이 몇 가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첨성대(瞻星臺)가 가장 오랜 천문대(天文臺)라..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2.06
창덕궁의 풍경 돈화문 (敦化門 : 보물 383호) 돈화문은 창덕궁의 정문으로 1412년(태종12년)에 처음지어졌다. 지금의 돈화문은 1609년(광해군 원년)에 다시 지은 것으로 현재 남아있는 궁궐 정문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창덕궁(昌德宮)은 조선시대의 궁궐로 사적 제122호이다. 창덕궁은 1405년(태종5년) 정궁인 경복궁의 ..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2.06
파란 눈에 담긴 KOREA 1958~1960 파란 눈에 담긴 KOREA 1958~1960 아래 사진들은 1958년에서 60년 사이 한국에서 근무했던 주한 미군의 한 장교가 그의 가족들과 함께 관광하며 찍은 사진입니다. 그 당시 찍은 사진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선명합니다. 몇 개의 사진은 흑백을 나중에 칼라로 고친 것 같습니다. 용산 미 8군 기지의 수영장 (1960..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2.06
조선왕조 500년역사 1 대 태조 10대 연산 19대 숙종 2 대 정종 11대 중종 20대 경종 3 대 태종 12대 인종 21대 영조 4 대 세종 13대 명종 22대 정조 5 대 문종 14대 선조 23대 순조 6 대 단종 15대 광해 24대 헌종 7 대 세조 16대 인조 25대 철종 8 대 예종 17대 효종 26대 고종 9 대 성종 18대 현종 27대 순종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1.25
한국 7대 불가사의 한국 7대 불가사의 1 - 고인돌 별자리 고대 문명사에서 천문학의 발달 여부가 중요시되고, 기원전 1200년경에 하늘을 관찰했음을 보여주는 바 빌로니아 토지 경계비가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이다. 그런데 이보다 1,800년이나 앞선 천문도가 우리나라 고인돌에서 발견되었다. 고인돌에 새긴 천문도는 주로 ..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1.10
1888년 경복궁 모습 1888년 경복궁 모습 ★*… 31일 개막하는 제2회 대구사진비엔날레에서 처음 공개되는 가장 오래된 경복궁 사진. 2장을 따로 촬영한 뒤 합친 파노라마식 사진으로 1888년에 찍었다. 스위스 바젤 헤르초크재단이 소장하고 있으며 작가 미상. 맨 왼쪽 건물이 근정전, 가운데가 경회루이다. 대구사진비엔날레 ..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0.31
국보기행 - 亂中日記의 현장을 가다 국보기행(20) - 亂中日記의 현장을 가다 李舜臣의 常勝 뒤에 숨은 절대 고독 ● 국보 제76호 亂中日記(아산) ● 국보 제304호 鎭南館(여수) ● 국보 제305호 洗兵館(통영) 軍艦, 상륙정, 여객선, 시외버스, 개인택시를 번갈아 타고 亂中日記에 기록된 李舜臣의 戰勝地 남해안과 多島海 횡단 답사 7박8일. 劣..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0.21
100년 전 한국-서울,부산,인천 100년전 인천을 소개합니다. 이 사진은 호주의 사진작가 조지로스가 촬영한 것입니다. 100년전 인천의 명칭은 제물포였습니다. 다음은 교보문고가 출간한 조지로스의 사진집 '호주 사진가의 눈을 통해 본 한국 1904 Korea throuth Australian eyes' 라는 책에 나오는 위 사진에 대한 설명입니다. 한글 캡션은 출간 ..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0.08
신윤복, <미인도>, 1825 , 1825" src="http://cfs3.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YmxvZzc5MjA5QGZzMy50aXN0b3J5LmNvbTovYXR0YWNoLzAvNi5naWY=" width=400> 신윤복, <미인도>, 1825 ... 조선시대 미인의 모습을 담은 그림으로 조선 후기의 화원 신윤복의 <미인도>에 나오는 여인이 있다. 얼굴이 복스럽고 턱은 둥글고 크며 눈은 가늘고 눈썹이 가..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