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보-문화재청 그림을 클릭하시면 문화재청 자료로... ☞ 1호 남대문 6호 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11호 미륵사지석탑 16호 안동 신세동 칠층 전탑 21호 불국사 삼층 석탑 26호 불국사 금동 비로자나 불좌상 31호 경주 첨성대 36호 상원사동종 41호 용두사지 철당간 46호 부석사조사당벽화 2호 원각사지 십층 석탑 7호 봉선 홍..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0.03
한국 지폐 변천사 한국 지폐 변천사 (1902년부터 지금까지) 1878년 부산에 지점을 낸 일본 제일은행은 개항장을 중심으로 일본화폐를 조선에 유통시킴으로써 조선에 대한 화폐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다. 이들은 1902년에 조선정부의 허락없이 제일은행권을 발행하기도 했다. 1902년 발행된 구권(사진 좌측)에는 당시 제일은..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0.03
김홍도의 그림 춤추는 아이 (1778) 위의 그림 뿐 아니라 김홍도가 그려낸 <풍속화첩>에는 “논갈이”, “대장간”, “고기잡이”, “빨래터” 등 일상 생활을 재미나게 그려낸 그림들이 있습니다. 북, 장구, 피리, 해금등의 가락에 맞추어 소년이 너울너울 춤을 추고 있네요. 다소 투박하기도 하지만 잘 정리된 듯..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0.02
김홍도의 그림세계 김홍도 金弘道 (1745∼ ? )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단구(丹邱)·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취화사(醉畵士) 또는 첩취옹(輒醉翁) 등 다얀하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도화서화원(圖畵署畵員)으로 그의 나이 29세 때인 1773년 영조어진(英祖御眞) 제작에 참여했고, 81년에는 정조어진익선..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0.01
"혜원 심윤복"의 조선의 여인들과 춘화도 "혜원 심윤복"의 조선의 여인들과 춘화도 신윤복 (申潤福 ; 1758 ~ ? ) 조선 후기의 풍속(風俗)화가로서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입부(笠父)이다. 그리고 호는 혜원(蕙園)이며 김홍도(金弘道) ·김득신(金得臣)과 더불어 조선 3대 풍속화가로 지칭된다. 그는 풍속화뿐 아니라 남종화풍(南..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10.01
허난설헌 ㅡ왜 조선에서 여자로 태어났을까 1577년 안동김씨 서당 김성립(西堂金誠立)에게 시집을 갔으나 김성립은 신혼 초부터 난설헌을 버리고 과거공부를 한다고 한강 서재에서 별거하다시피 했다. 재기 넘치는 똑똑한 부인 난설헌이 자신에게 힘겨워서였을까. 난설헌 역시 남편이 시답지 않게 생각했을 수도 있다. 어쨌든 난설헌은 모랏골에..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08.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