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뇌를 운영하라 [뇌이야기]당신의 뇌를 운영하라 2006 05/02 뉴스메이커 672호 뇌를 운영한다는 것, 뇌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자각에서 출발 뇌정화 수련을 하고 있는 고등학생들. 뇌가 없는 사람은 없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뇌가 있다는 걸 의식하지 않고 살아간다. 나아가 뇌를 운영한다는 생각은 더더욱 하지 못한다.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10.17
뇌 정보보다 뇌 활용이 중요하다 [뇌이야기]뇌 정보보다 뇌 활용이 중요하다 2007 06/19 뉴스메이커 729호 21세기 교육수출국 대한민국의 미래, 뇌에 달렸다 뇌에 대한 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있다. 이제는 신문에서 뇌에 대한 기사를 찾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을 만큼 언론의 뇌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다. 그만큼 ‘뇌’라는 것이 생활 속으..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10.17
뇌를 알면 행복이 보인다 [뇌이야기]뇌를 알면 행복이 보인다 2006 12/12 뉴스메이커 703호 뇌를 어떻게 쓰는가에 개인의 삶과 미래가 달려 있어 ‘뇌를 알면 행복이 보인다’. 이것은 이번에 국가과학자 1호로 뽑힌 신희섭 박사와 필자가 함께 낸 책의 제목이다. 이렇게 타이틀을 내세운 데는 이유가 있다. 누구나가 돈을 벌고 성..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10.17
여자에게 인기 있는 남자가 되는 5가지 비법 여자에게 인기 있는 남자가 되는 5가지 비법 (여자 친구가 없는 당신을 위해) ▲ 혹시 당신 그 나이가 되도록 아직도 여자 친구 하나 없는 거야, 그런 거야? 이유가 뭔데? 뭐라고, 아무리 생각해봐도 자신이 여자들에게 인기가 없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남들보다 부족한 것도 없고 그만하면 인물도 준수..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9.10.17
KBS · 마음 (Mind), 몸을 지배하다 "); imageWin.document.write(""); imageWin.document.write(""); imageWin.document.title = imgObj.src; } 마음은 과연 무엇일까? 왜 첨단과학의 시대에 느닷없이 오래된 화두를 끄집어내는 것인가? 그 질문은 역설적으로 첨단과학과 풍요의 시대에 우리는 행복하지 못하다는 뜻을 담고 있다. 우리는 행복을 찾기 위해 수단과 방법..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9.10.10
내면의 상처와 치유 내면의 상처와 치유 많은 사람들이 육체적인 질병 또는 물질적인 고통보다는 심리적이나 감정상의 문제로 인해 고통하고 있습니다. 또한 육체적인 질병이기는 하나 그 원인을 살펴보면 사실상 감정이나 영적인 부분의 장애가 질병의 간접, 직접적인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심리적, 감정적인 부분도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8.27
자기존중감을 키우는 비결 자기존중감을 키우려면.. 1. 자신이 스스로의 자기상을 통제한다는 것을 인식하라. 당신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 지를 통제하는 것은 결국 자신이라 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타인의 피드백을 수용하거나 거절할 마지막 선택은 자신에게 달려있다. 당신의 자기이미지는 마음 속에 있으며 사고과정의 산..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8.27
상처를 받게되는 이유 아이는 태어날 때 적대감, 두려움, 반항심과 같은 것이 없다. 모든 것을 믿으며 사랑하며 어떤 두려움도 없는 상태를 유지하고 태어난다. 그러나 영육 과정에서 충분한 사랑과 인자정과 바른 교육을 받지 못하고 폭력과 언어의 상처로 인하여 마음의 감정이 손상을 입고 마음이 병들어 가..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8.26
엄마를 통해 아이의 지아가 만들어진다. 엄마를 통해 아이의 지아가 만들어진다. 0-6세까지의 인격발달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엄마와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어머니의 사랑은 세상으로 나가는 통로이다. 이것이 잘 되면 자신에 대한 신뢰가 생긴다. 또한 다른 사람과 세상에 대한 신뢰가 생긴다. 이때 원시적인 인과법칙을 배우게 되는데..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8.26
어린 시절의 상처 치유의 중요성 어린시절의 상처’ 치료의 중요성 -배우자 각자의 ‘어린시절의 상처’ 치료의 중요성: 이마고 커플관계치료와 내면아이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오제은 교수 이 글의 목적은 커플관계치료에 있어서 배우자 각자의 어린시절의 상처의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서 살펴보는 데 있다. 즉, 배우자 각자가 어린..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