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울병을 잘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 명심해야 할 10가지 조울병은 초기에 병을 발견해 약물로 치료받으면 환자의 대다수에서 치료가 가능하며 병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도 높은 치료반응률을 보인다. 전체 인구 100명당 1~3명이 일생에 한번은 조울병을 앓게 될 가능성이 있다. 조울병은 국적, 인종, 남녀 간에 차이가 없이 비슷한 비율로 발생하고 있으며, 대..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6.20
정신분석학자 지크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자 지크문트 프로이트 “나의 투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전원경│주간동아 객원기자 winniejeon@hotmail.com│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보수적인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거센 비난을 샀다. 그럴수록 프로이트는 더 당당해졌다. 유대인으로 갖은 핍박을 받아야 했던 그는 자신에게 반대하고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6.20
바이런케이티 인간관계 문제 테스트지 인간관계 문제가 있으신분은 아래 설문지를 작성후 비공개 댓글 달아주세요 도와드리겠습니다.^^ 배경 이야기: 예) 사건 발생 시초, 이유 등등 1. 당신을 화나게 하거나 슬프게 하거나 실망시키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당신은 그 사람의 어떤 점이 마음에 들지 않(았)나요? (가혹하고 유치하며 편협하게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6.19
우리 아이 재능 키우기! 엄마가 이끄는 자아존중감 학습법 우리 아이 재능 키우기! 엄마가 이끄는 자아존중감 학습법 IQ만으로 아이의 능력을 판가름하던 시대는 갔다. 이젠 성공지능, 감성지능, 창의력, 다중지능 등 아이의 보이지 않는 잠재력을 발굴해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뒷받침해주어야 한다. 지능은 자아존중감이라는 건강한 토양이 있어야 자신의 능.. 내면의 삶/자녀교육 2009.06.16
우리 아이 집중력 키우기 [Child Care Clinic]우리 아이 집중력 키우기 비슷한 지능의 두 아이가 같은 시간 동안 공부를 하고 있다. 한 명은 1시간째 자리를 뜨지 않고 열심히 공부하는 반면, 다른 한 명은 집중하지 못하고 놀 생각을 하거나 주변의 사소한 소리에 신경 쓴다면 결과적으로 두 아이의 학업 성취도는 분명 차이가 날 것.. 내면의 삶/자녀교육 2009.06.16
조금만 몸이 안 좋아도 불안? 몸 아닌 마음병, 건강염려증 조금만 몸이 안 좋아도 불안? 몸 아닌 마음병, 건강염려증 간 기능이 떨어졌다는 말을 듣고 나서부터 사람들과 같이 물컵을 쓰는 것도 미심쩍고 언제 큰 병에 걸릴지 몰라 불안한 마음에 병원을 전전하는 A씨. 어느 날 팔뚝에 생긴 반점을 보고 AIDS를 의심하며 우울증에 빠진 B씨. 분명 소화가 되지 않는..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6.16
똑똑하고 행복한 자녀를 위해 체력·학력·재력보다 중요한 것 父·母·力 똑똑하고 행복한 자녀를 위해 체력·학력·재력보다 중요한 것 父·母·力 ▲ 일러스트 한규화 <이 기사는 주간조선 2059호에 게재되었습니다.> 세상 부모 중 몇 명이나 ‘부모됨’을 준비할까? 청춘남녀의 정체성이 엄마 혹은 아빠로 바뀌는 건 한순간이다. 품에 안은 첫 아이와 눈이 마주친 순간.. 내면의 삶/자녀교육 2009.06.11
조화로운 인간관계 조화로운 인간관계 조화로운 인간 관계란 주는 마음에서부터 시작된다. 받고자하는 마음이 앞서면 상대는 문을열지 않는다. 문을 열기는커녕 경계하는 마음이 된다. 주는 마음은 열린 마음이다. 내 것을 고집하지 않고 남의 것을 받아들이는 마음이다. 그의 말을 들어주고 그의 마음을 받아 주는 것 .. 내면의 삶/인간관계훈련 2009.05.21
상대방의 거짓말을 알아채는 10가지 방법 상대방의 거짓말을 알아채는 10가지 방법 [조인스] 사람을 의심하는 것은 그리 좋은 일은 아니지만 중요한 일이나 결정을 앞두고 있을 때는 나중을 위해서라도 속시원하게 결말을 내는 게 좋다. 상대방이 지금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어떻게 알아챌 수 있을까.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내면의 삶/인간관계훈련 2009.05.19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은 어떤 목표수준에서 과제를 수행하거나 학습하는데 필요한 어떤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능력에 대해 가진 자신감입니다. 이러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학습)과제에 투여하는 노력 및 지속성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자기가 가지..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9.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