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상담사례 연구(게슈탈트 상담이론 소개와 사례) 청소년 상담사례 연구(게슈탈트 상담이론 소개와 사례) 최 기 혜 /심리건강연구소 연구원 게슈탈트 심리치료(Gestalt therapy)는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프릿츠 퍼얼스(Fritz Perls)에 의해 창안된 심리치료 이론이다. 펄스는 정신분석 이론과 골드슈타인의 유기체 이론(개체와 환경을 하나의 전체적인 통합체..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2.01
집단상담의 시작은 어떻게 하는가? 집단상담의 시작은 어떻게 하는가? 김진숙 교수(한국청소년상담원 교수) 요 약 지도자는 먼저 오리엔테이션의 한 부분으로 실제 집단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집단의 성격과 목적에 관해 참여자들에게 구체적으로 설명해준다. 이어서 참여자 소개 시간을 통해 서로 친숙해질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고..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2.01
집단상담과 인성계발 집단상담과 인성계발 임 재 남(경기도학생상담자원봉사자회 초대회장) 1. 집단상담의 정의 집단상담은 의식적 사고와 행동 그리고 허용적 현실에 초점을 둔 정화, 상호 신뢰, 돌봄, 이해, 수용 및 지지 등의 치료적 기능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역동적 대인간의 과정이다. 치료적 기능들은 동료성원들과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2.01
아동 및 청소년상담 아동 및 청소년상담 김 유 숙 교수(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현대는 여러 가지 문제를 지닌 시대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최근 들어 급격한 문화적, 사회적 변화를 경험해 가는 나라로서 더욱 곤란에 직면하고 있다. 학교 내의 폭력, 가출, 또는 아동의 자살 등의 문제는 신문에서도 자주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2.01
분리불안장애 치료사례 분리불안 장애( Separation anxiety disorder) 보통 아이가 3-4살 정도가 되었을 무렵 어머니의 애착에서 분리하여 유치원에 가거나 비정기적으로 떨어져 지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어머니와 분리될 때마다 심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를 말한다. 예전처럼 대가족 제도나 아이들을 거의 내놓고 키웠을 때에..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30
사회공포증(Social Phobia)이란 무엇인가? 사회 공포증은 대인 공포증이라고도 하며, 낯선 사람과 이야기하거나 다른 사람들 앞에서 연설을 하는 등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있어서 그런 상황을 가능한 피하려고 하는 것에서 나타난다.급격한 사회의 변화로 공동체 생활에서 서구 문화가 보편화되면서, 핵가족화와 개인주의가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30
J.H 반더호프 - 내향적 감정형 1차 출처 : Dr. J. H. van der Hoop, Lecturer in Psychiatry, Amsterdam, Conscious Orientation, pp. 87-91, translated 1939 by Laura Hutton, B.A. Lond., M.R.C.S., L.R.C.P. 2차 출처 : "The Introvert of Feeling-Type" by TrueHeart (TrueHeart님의 주석 : 몇몇 이유로 저자/역자는 '본능'을 '감각'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내향적 감정형은 내적 이상에 따라 감..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28
J.H 반더호프 - 내향적 사고형 1차 출처 : Dr. J. H. van der Hoop, Lecturer in Psychiatry, Amsterdam, Conscious Orientation, pp. 64-68, translated 1939 by Laura Hutton, B.A. Lond., M.R.C.S., L.R.C.P. 2차 출처 : "The Introverted Thinking-Type" by TrueHeart 내향적 사고형도 외향적 사고형처럼 안내에 따라 경험을 조직화한다. 그러나 여기서 객관적 질서의 요구와 법과 원리, 경험의..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28
나르시시즘의 심리학-샌디호치키스 나르시시즘: 자기애라고 알고 있던 나르시시즘은.. 대략 생후 12-36개월의 기간에 사랑받는 것에 대한 확신의 결여, 나와 너의 경계개념의 부재, 과도한 억압, 질투심 이런것들때문에 생긴다고한다. 특성은 물론 자기 중심적 태도이지만, 그외로도 자기가 불완전하고 무의미한 존재라는 느낌을 회피하..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25
게슈탈트 법칙 게슈탈트의 요인(要因)이라고도 한다. M.베르트하이머가 처음으로 제기한, 주로 지각심리학 영역에서의 중요한 법칙이다. 특히 시지각(視知覺)에서 군화(群化)의 문제와 관계가 있다. 이 법칙은 근접의 법칙, 유동(類同)의 법칙, 폐합(閉合)의 법칙, 좋은 연속의 법칙, 좋은 모양의 법칙 등을 포함한다.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