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형 리더에게 필요한 개인적 역량 10가지 21세기형 리더에게 필요한 개인적 역량 10가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속담이 있다.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알고 미리 준비하면 사회에서의 성공은 가까이에 있게 되는 것이다. 미국 MIT 대학의 경우, 학생들이 진로 탐색을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양한 진로워크숍을 제공하는데 그 한 .. 내면의 삶/CEO리더십 2007.09.18
[스크랩]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 리포트 [스크랩]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 정리 리포트 2006.12.22 10:52 에쉐트하일http://blog.daum.net/jejehi37/961032 1. 인간관 2. 중요개념 3. 치료과정 4. 치료기법과 절차 5. 비판 6. 적용 ( 굳 윌 헌팅감상) 1. 인간관 로저스는 인간마다 현실을 각기 달리 지각하고 주관적인 경험이 행동을 지배한다고 믿었다. 다시말해서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09.18
Holland의 직업성격 이론 1.Holland의 직업성격 이론 홀랜드는 개인의 성격 특성을 진로와 관련시키면서 직업성격 검사와 진로 발달에 관한 이론을 구성하였다. 홀랜드의 직업성격이론은 RIASEC(Realisticm Investive, Social, Enterprising, Convenition)이라는 6각형 모형을 통해 성공적인 진로결정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09.13
상담심리학이란? 상담심리학 상담심리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에게 최해림(서강대 교수, 한국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장) 상담은 흔히 예술이며 과학이라고 합니다. 이는 상담이 심리학에 근거한 과학적 사고와 지식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마치 예술가가 자기의 작품을 만들 때 객관적 지식..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09.12
행복도 만들어 질 수 있다. 지금, 행복하지 않다면 행복을 배워라. 행복도 만들어 질 수 있다. 지금, 행복하지 않다면 행복을 배워라. 행복은 바이올린 연주나 자전거 타기처럼 배울 수 있는 ‘기술’이다. 2006년 공부벌레들만 모여 있다는 하버드대학교의 최고 인기 강좌가 긍정 심리학(행복론)이었다. 하버드대학교뿐만 아니라 미국 전역의 100개 이상의 대학에서 긍..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7.09.11
"행복을 원한다면 행복을 정의하라" ‥ `긍정 심리학` "행복을 원한다면 행복을 정의하라" ‥ `긍정 심리학` 긍정 심리학 창시자 마틴 셀리그만 교수 긍정 심리학의 창시자이자 프로이트 이후 가장 주목받고 있는 심리학자로 꼽히는 마틴 셀리그만 교수가 한국어판 '긍정 심리학'을 들고 서울에 왔다. 22일 도착하자마자 기자간담회를 가진 그는 23,24일 연세..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7.09.11
긍정적 사고가 행복을 부른다 긍정적 사고가 행복을 부른다 문화일보 | 기사입력 2006-09-23 13:11 (::‘긍정심리학’의 대가 마틴 셀리그만 방한::)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강점을 발휘해 더 행복해질 수 있다.” 인간 마음의 밝은 면에 초점을 맞춰 행복을 증진시킨다는 ‘긍정 심리학’의 패러다임을 주도한 마틴 셀리 그만(64) 미국 ..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7.09.11
행복 열풍속 '행복학 대가' 내한강연 인기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55&article_id=0000080489 행복 열풍속 '행복학 대가' 내한강연 인기 SBS TV | 기사입력 2006-09-23 21:21 - 셀리그만 박사 '긍정심리학' 역설 - <8뉴스> <앵커> 잘사는 국가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민 개인이 느끼는 행복이다. SBS의 문제제기 이후 행복에 대한 관심이 ..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7.09.11
정서지능 테스트 심리학자들은 한 인간의 성공은 일반 지능이 10~20%, 나머지 80~90%는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정서지능을 연구해 왔다. 실제로 대기업에서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학력만 보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성격검사나 대인관계 검사를 통해 선발하는 것을 보면 정서 지능이 점차로 중요시 여겨..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7.09.11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이라는 용어는 Harvard University의 Peter Salovey와 New Hampshire University의 Jone Mayer라는 심리학자에 의해 1990년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Lawrence 1997). Gardner(1983)는 지능지수(IQ)가 높은 아동은 모든 영역에서 우수하다는 종래의 지능을 비판하고, 인간의 지적 능력이 서로 독립적이며 상..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7.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