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치료와 기독교상담 1 머리말 인간이 이성적 동물이라는 말은 인간의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한 표현이다.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달라진다는 말도 인간의 지각과 사고의 관계성을 언급하는 말이다. 인간은 생각을 통하여 행동과 습관을 만드는 존재이다. 잘못된 생각을 버릴 수 있다면 우리는 보다 놀라운 삶을 개척할 수 있..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8.05.01
독서치료 독서치료 들어가는 말 독서치료(Bibliotherapy)란 말의 어원은 'biblion(책, 문학)'과 'therapeia(도움이 되다. 의학적으로 돕다, 병을 고쳐주다)'라는 그리스어의 두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독서치료는 책을 통해 사람들의 정서적, 사회적, 정신적 부적응 문제를 치료하고자 하는 임상상담의 한 분야이다. 독서치..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8.05.01
이야기치료 이야기 치료 목 차 들어가는 말 1. 주요 인물 2. 이야기 치료의 가치체계 3. 이야기 치료의 전제 3.1. 인간은 이야기적 존재이다. 3.2. 우리 자신은 우리의 이야기이다. 3.3. 인간의 이야기는 삶의 역사이다. 3.4. 이야기는 주제가 있다. 3.5. 이야기는 치료의 힘이 있다. 4. 이야기 치료의 과정 5. 상담자의 역할 6..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8.05.01
고민은 십분을 넘기지 마라 고민은 십분을 넘기지 마라 우리가 하는 걱정거리의 40%는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에 대한 것이고.. 30%는 이미 일어난 사건들, 22%는 사소한 사건들 4%는 우리가 바꿀 수 없는 것들에 대한 것들이다.. 나머지 4%만이 우리가 대처할수있는 진짜 사건이다.. 즉, 96%의 걱정거리가 쓸데없는 것이다.. 고민이 많다..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8.05.01
죽음의 문턱에 이르러서야 찾은 생의 길 죽음의 문턱에 이르러서야 찾은 생의 길 [한겨레] 인터뷰 / ‘자유로에서 길을 잃다’ 펴낸 소설가 차현숙 우울증 고통받은 경험담 솔직한 고백 다섯번 자살시도 뒤 소설쓰기로 치유 “정신과 치료 감추려다 되레 화 키워” 우울증은 특히 예술가들에게 잘 찾아오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증이 예..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8.04.27
자녀와의 바람직한 대화법 15 단계 ◈ 자녀와의 바람직한 대화법 15 단계 1. 자녀가 부모의 말을 경청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되도록이면 부모는 말을 적게 해야 한다. 아이들은 부모의 긴 명령어에 익숙해지면 부모의 말에 무감각해지기 쉽다. 한마디 규칙(one-word rule)이 중요하다. "너"(적대적 반응 유발) "만일"(위협) "왜"(비난의.. 내면의 삶/자녀교육 2008.04.26
MBTI 성격유형의 역동성-MBTI 유형별 Communication 스타일 MBTI의 4가지 선호성 MBTI는 4개의 주요한 요소들을 가진다. 우리의 행동은 우리가 세계(사람, 장소, 사물)에 대하여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이는가에 대한 결과이다. 이러한 과정이 인식(Perception)이다. 또 다른 요소가 여기에 연합되는데, 그것은 우리가 어떻게 결정에 도달하는 가이다. 결정에 도달하기 위..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8.04.18
MBTI를 이용한 상담기법 내담자 이해를 위한 상담기법 MBTI를 이용한 상담기법 MBTI란 무엇인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 심리유형검사)는 C. Jung의 심리유형 이론을 보다 쉽게 이해하여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융의 심리유형 이론은 인간 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이 보여..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8.04.18
기독교 영성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기독교 영성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박 노권(목원대학교 목회상담학교수) 1. 서론 “영성”이란 말은 오늘날 교회에서뿐만 아니라 신학에서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주제 중의 하나이다. 기독교에서 사용되는 이 말은 전통적으로는 중세의 수도원적 경건, 금욕생활이나 개인의 내면적인 신비체..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8.04.18
자아 존중감 자아 존중감 자아 존중감이라는 말은 심리학 용어로 자기 자신을 좋아하고 자신의 현재 상태와 자신이 하는 일에 자부심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자기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말합니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며, 미래에 대해 낙천적인 반면,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8.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