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쪽형 인간’이 성공한다 ‘앞쪽형 인간’이 성공한다 TV 끄고 책-신문 읽으면 앞쪽뇌 발달… 정보 종합능력 앞서 ■ 나덕렬 삼성서울병원 교수 이론 화제 주변 환경에 수동적인 ‘뒤쪽형 인간’과 대비 충동조절 잘해… “많이 걷고 대화하면 효과” 한때 직장인 사이에 일찍 일어나 활동적으로 생활하는 ‘아침형 인간’을 ..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8.09.21
20~30대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라니 20~30대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라니 우울증의 위험 과소 평가돼 '정신과 치료' 중요성 알아야 ▲ 신영철·강북삼성병원 정신과 의사 참으로 안타까운 소식이다. 한 유명 탤런트가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선한 눈을 가진 고인의 얼굴이 떠오른다. 그런 극단적인 방법을 택할 줄이야 누가 짐작이나 했겠..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8.09.12
‘희망’ 치유효과 ‘희망’ 치유효과 의학적으로 증명돼 믿음·기대라는 치료 성분 모르핀 같이 통증 완화해 “희망은 종양을 녹여 버리는 힘을 가졌다.” 미국 하버드 의대 암 전문의 제롬 그루프먼 박사는 지난해 국내에서도 출간된 ‘희망의 힘’이란 책에서 희망이 갖는 치유의 힘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그가 ..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8.09.10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는 10계명 성공한 멘토에게 배우는 영향력의 4가지 황금법칙 -다른이의 모범이 되는 도덕성을 갖춰라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태도를 가져라 -내 이익 보다 남의 이익을 더 중요시 하라 -모든 일에서 최고가 되라 이는 인간적인 매력과 탁월한 능력을 겸비할 때 비로소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될수있다는 것으로 요약.. 내면의 삶/CEO리더십 2008.08.27
게슈탈트 치료 게슈탈트 치료 게슈탈트치료(Gestalt Therapy)는 독일출생의 유대계 정신과 의사 Fritz Perls에 의해 창안된 심리치료이다. 게슈탈트치료는 카린 호나이의 정신분석치료 이론을 위시하여 골드슈타인의 유기체 이론, 빌헬름 라이히의 신체 이론, 레윈의 장 이론, 베르트하이머 등의 게슈탈트 심리학, 모레노의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8.08.26
게슈탈트 상담이론 소개와 사례 게슈탈트 상담이론 소개와 사례 게슈탈트 심리치료(Gestalt therapy)는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프릿츠 퍼얼스(Fritz Perls)에 의해 창안된 심리치료 이론이다. 펄스는 정신분석 이론과 골드슈타인의 유기체 이론(개체와 환경을 하나의 전체적인 통합체로 보는 시각), 실존주의 철학(지금-여기에서의 경험을 중..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8.08.26
걱정하는 습관을 버리자 걱정하는 습관을 버리자 “이를 어쩌나!”. “큰일 났군”, “어떻게 하지” 혹시 이런 말들을 습관적으로 하지는 않는가? 다음 여섯가지 처방으로 매사에 걱정하는 습관을 버리고 걱정거리를 새로운 도전으로 받아들이는 건강한 생활자세로 바꿔보자. 1. 문제를 보는 시각을 바꾸라. 문제를 두고 걱.. 내면의 삶/심리교실 2008.08.20
정말 자극되는 공부명언 30가지 정말 자극되는 공부명언 30가지 1. 10분 더 공부하면 남편 얼굴이 바뀐다. (10분 더 공부하면 아내 얼굴이 바뀐다.) 2. 지금 이 순간에도 적들의 책장은 넘어가고 있다. 3.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지만 성공은 성적 순이다. 4. 최선은 나를 절대 배반하지 않는다. 5. 닭 대가리 보다는 소꼬리가 낫다. 6. 10분뒤와.. 내면의 삶/자녀교육 2008.08.18
성공을 위해 항상 점검해야 할 6가지 사항 성공을 위해 항상 점검해야 할 6가지 사항 성공을 원한다면, 먼저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신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사람만이 성공을 합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 후한 점수를 줍니다. 그러나 후한 점수가 나중에는 큰 낭패를 당하게 만듭니다. 한번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내면의 삶/CEO리더십 2008.08.18
카네기 성공론-걱정을 극복하기 위한 기본 원칙 제1부 걱정을 극복하기위한 기본 원칙 *하루 하루를 충실히 살아가기 위해서 생활에 임하는 자세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카네기 성공론 에서는 오늘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이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바라던 내일 이었다’는 말을 학창시절 좌우명처럼 되뇌이며 .. 내면의 삶/CEO리더십 2008.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