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사건은 국가반역이 단초 제주 4/3사건에 대한 역사의 전모를 이곳에 다 밝힐수 없지만 발단은 좌익들의 국가 반역에서 비롯된것이다. 북한과 러시아의 지령을 받은 자들이 제주도로 스며들어서 국가 행정망이 유린되고 중앙정부의 손이 미치지 않을정도로 공산화 되었던 것이다. 여순 반란사건의 주모자들이 합..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8.04.12
[특집-4.3 70주년 기념 Ⅱ] 제주 43 사건 [편집자주] 4.3 70주년을 기념해 '제주4.3사건'이란 제목으로 5회 연재한다. 이 글을 쓴 고영철 님은 함덕초등학교 교장으로 정년을 맞은 제주의 역사를 연구하고 탐구하는 향토사학자이다. 현재 흥사단 부이사장을 맞는 등 시민운동에도 앞장서고 있다. 고영철 선생은 “수정할 때가 여러..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8.04.12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4·3 사건 제주43평화공원 다랑쉬굴 학살 현장 재현날짜1948년 4월 3일 ~ 1954년 9월 21일장소제주도 전역결과공산 유격대 토벌, 극심한 민간인 피해 발생.지휘관송요찬 유재흥 김익렬 조병옥 박진경 김달삼 † 이덕구 †­군대 미군 국방경비대 제주경찰 서북청년단남조선로..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8.04.12
제주 4·3 사건의 본질을 다시 말한다 - 과잉진압은 있었지만 4·3 사건의 본질은 바꿀 수 없다 蘇聯의 지령下에 대한민국 건국 저지하기 위한 流血폭동 ●4·3 폭동은 「천검산」이란 外地人이 지휘한 것으로 밝혀져 남로당 독자 주동설에 엄청난 관점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과잉진압은 있었지만 4·3 사건의 본질은 바꿀 수 없다 李炫熙 성신여대교수·한국사 광복 직후 제주도..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8.04.12
우리는 5~60년전에 이렇게 살았습니다 우리는 5~60년전에 이렇게 살았습니다 국민체조를 의무적으로 했었죠.. 국민체조 시작하며 구령소리가 나면 길가다가도 마춰하던 체조 기억나시죠 ? 분명 이런 시절이 우리들에게 있었습니다 청계천 판자촌 뒷골목이라네요..하꼬방촌 루핑집들 5.60년대 어딜가나 볼수있는 거리와 전경 요..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8.02.26
조선의 마지막 皇女 덕혜옹주 기울어가는 왕실에서 태어나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간 조선의 마지막 皇女 덕혜옹주 홍유릉 뒤편으로 호젓한 영원길을 걸어서 덕혜옹주님를 뵈러 갑니다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홍유릉 부속림(영원)에 안장. (현재 '영원'과 더불어 비공개 문화재 구역으로 입장이 안되기에 담장 ..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8.02.05
1970년대 정부 기록 사진 당시의 정부 기록 사진 자료 1969~70년대 서울시 중학교 무시험진학 추첨 69.2.8 박정희 대통령 단란한 가족생활 70.12.11 전향 무장공비 김신조 결혼식 70.10.7 제7회 청룡영화제 시상식 남우조연상 허장강 여우조연상 사미자 70.3.6 아폴로 우주인 환영 카 퍼레이드 69.11.3 박정희 대통령 내외 현..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8.02.02
[6ㆍ25와 나 - 존 리치] [6ㆍ25와 나 - 존 리치] 최초 공개 컬러 사진들로 되돌아본 한국전쟁 존 리치 ⊙ 1917년 미국 출생. ⊙ UPI의 전신인 International News Service의 도쿄 특파원 으로 파견되어, 맥아더 장군 및 히로히토 일왕 등 인터뷰. ⊙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한국으로 파견되었으며, 1950년 12월 NBC News로 옮겨 3..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8.01.23
조선시대 아낙네들의 대담한 모습 톱레스 치마 저고리 문명사회에 있으면서도 세계에서 가장 원시적이었던 조선시대 아낙네들의 대담한 모습 톱레스 치마 저고리 러일전쟁 무럽 프랑스 신문에 실린 한국 여성의 "젖가슴 드러낸 치마 저고리" 풍자화 18세기 이후 조선 여성의 민족의상 "치마 저고리"에 변화가 생겼다. 이 ..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