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재가복지센터에서 제공하는 주요서비스는
치매 · 중풍 등 노인성질환이나
장애가 있는 어르신에게
상담전문가 1 : 1 서비스를 통해
가장 알맞은 등급신청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 전문인력 확보 및 운영
▶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 한 통의 전화로 모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one-Stop 서비스
▶ 어느 곳, 어떤 지역에서도 동일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Ubiquitous) 서비스
▶ 어르신이 계신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장 빠른 서비스
재가서비스 내용
- 가사 및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 정서지원 서비스
- 대상자에 맞춤 서비스
- 더블케어 서비스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기준
등급판정은 "건강이 매우 안좋다", "큰 병에 걸렸다." 등과 같은 주관적인 개념이 아닌 "심신의 기능상태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도움(장기요양)이 얼마나 필요한가?"를 지표화한 장기요양인정점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장기요양인정 점수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5개 등급으로 등급판정을 합니다.
장기요양 등급 | 심신의 기능상태 |
---|---|
1등급 | 심신의 기능상태 장애로 일상생활에서 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95점 이상인 자 |
2등급 | 심신의 기능상태 장애로 일상생활에서 상당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75점 이상 95점 미만인 자 |
3등급 | 심신의 기능상태 장애로 일상생활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60점 이상 75점 미만인 자 |
4등급 | 심신의 기능상태 장애로 일상생활에서 일정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자로서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51점 이상 60점 미만인 자 |
5등급 | 치매환자로서(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노인성 질병으로 한정)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45점 이상 51점 미만인 자 |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 구분을 위한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장기요양인정조사표'에 따라 작성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
- '영역별 점수 합계'구함
-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산정
- 52개 항목 조사 결과와 영역별 100점 환산점수는 수형분석(Tree Regression Analysis)에 적용하여
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 후 합계를 구함- ※ 수형분석이란?데이터 마이닝 기법에 의하여 결과를 예측하거나 분류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통계적인 방법입니다.
- ※ 수형분석의 역할은?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수형분석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신청인의 기능상태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 량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 장기요양인정점수의 합을 등급판정기준에의해 장기요양등급 판정
1단계 :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 결과
5개 영역별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의 판단기준 및 척도에 따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5개 영역(52개 항목) | 조사항목별 판단기준 및 척도 | 조사 결과 | |
---|---|---|---|
신체기능(12항목) | 기능자립정도 | 완전자립 | 1항목 |
부분도움 | 6항목 | ||
완전도움 | 5항목 | ||
간호처치(9항목) | 있다 | 4항목 | |
재활(10항목) | 운동장애 없음 | 1항목 | |
불완전운동장애 | 3항목 | ||
완전운동장애 | 6항목 |
2단계 : 영역별 점수 합계
1단계에서 실시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 결과를 기초로
「영역별 조사항목 원점수표」에 의하여 해당 항목별 점수의 합을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 완전자립, 예, 있음, 운동장애 없음, 관절제한없음 = 1점
- 부분도움, 불완전운동장애, 한쪽관절제한 = 2점
- 완전도움, 완전운동장애, 양관절제한 = 3점
영역 | 원점수 계산 | 영역별 원점수 |
---|---|---|
신체기능 | (1항목×1점)+(6항목×2점) +(5항목×3점) | 28점 |
인지기능 | - | 0점 |
행동변화 | - | 0점 |
간호처치 | 4항목×1점 | 4점 |
재활 | (1항목×1점)+(3항목×2점) +(6항목×3점) | 25점 |
3단계 :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
2단계에서 계산한 「영역별 점수 합계」에 의해 아래「영역별 100점 득점 환산표」에 따라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를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
영역 | 영역별 원점수 |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 |
---|---|---|
신체기능 | 28점 | 61.71점 |
인지기능 | 0점 | 0점 |
행동변화 | 0점 | 0점 |
간호처치 | 4점 | 55.81점 |
재활 | 25점 | 70.53점 |
참고 - 영역별 100점 득점 환산표
4단계 : 8개 서비스군별 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 및 합계
1단계에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결과와 3단계에서 산출한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를 가지고
8개 서비스 군별 수형분석도에 적용하여 장기요양인정점수를 다음과 같이 산정한 후 합을 구합니다.
8개 서비스군 | 장기요양인정점수 |
---|---|
장기요양인정점수의 합 ( ① ~ ⑧ ) | 80.2 |
① 청결 | 9.0 |
② 배설 | 10.2 |
③ 식사 | 15.1 |
④ 기능보조 | 6.4 |
⑤ 행동변화대응 | 0.4 |
⑥ 간접지원 | 19.7 |
⑦ 간호처치 | 14.6 |
⑧ 재활훈련 | 4.8 |
5단계 : 장기요양등급 결정
OO에 사시는 김OO 할아버지는 장기요양인정점수가 80.2점으로 아래 장기요양등급 기준을 적용하면 장기요양 2등급을 판정받게 됩니다.
등급 | 장기요양인정점수 |
---|---|
1 | 95점 이상 |
2 | 75점 이상 95점 미만 |
3 | 60점 이상 75점 미만 |
4 | 51점 이상 60점 미만 |
5 | 45점 이상 51점 미만 |
'신앙의 삶 > 노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 한 방울로 치매 진행 정도 예측’ 국내 연구진 개발 (0) | 2019.01.21 |
---|---|
“중풍 남편 10년 보살폈는데 … 가족이 돌보면 왜 차별하나” (0) | 2018.12.21 |
재가노인 복지시설의 시설ㆍ운영기준 (0) | 2018.11.23 |
설치신고 (0) | 2018.11.23 |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운영기준 (0) | 2018.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