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세포가 세균 물리치는 '1·2차 전쟁 비밀' 밝혀냈다 ▲ 올해 노벨의학상 공동 수상자 3명은 우리 몸이 세균·바이러스·곰팡이의 침입에 맞서 어떻게 면역 체계가 작동하는지 핵심 원칙들을 밝혀냈다. 이로써 인류가 미생물과의 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들의 연구결과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13.05.08
장내세균의 제로섬 게임-고지방 식사 하면 유해균 늘고 유익균은 줄어 태아일 때는 장내세균이 없다. 태어날 때 산도(産道)에 있는 젖산균(유산균, 유익균의 일종)이나, 주위에 있던 균들이 입을 통해 뱃속에 들어가면서 장내세균이 정착하기 시작한다. 그 이후에는 나이가 들면서 균의 수나 종류 등이 계속 변한다. 이왕림 고대안암병원 통합의학센터 외래교..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13.05.08
유익균 늘리는 방법-젖산균 많이 든 요거트 좋고 프락토올리고당 섭취해야 유익균의 수를 늘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유익균 증식은 돕고 유해균 증식은 막는 식품을 섭취하거나, 유익균의 먹이가 되는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 요거트는 위산의 영향을 덜 받는 식사중이나 식후에 먹는 게 좋다.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프로바이오..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13.05.08
長壽 돕는 유익균, 질병 부르는 유해균 ▲ 사람의 장 점막에는 100조 마리가 넘는 장내세균이 살고 있다. 종류만 400~500가지이며, 세균의 무게를 모두 합하면 1~1.5㎏ 정도 된다고 한다. 종류에 따라 원기둥·공·스프링 모양을 띠고 있고, 크기는 0.5~5㎛(100만분의 1m)다. ▶ 기사 더 자세히 보기 ▲ 태아일 때는 장내세균이 없다. 태..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13.05.08
인물 사진 촬영법 가장 많은 사진촬영의 기회중 하나가 바로 "인물 사진 촬영"이 아닌가 싶습니다. 전문가드은 인물 사진 촬영법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보겠습니다. ======= 인물 사진 촬영법 * 구도상으로 설명 '수직구도' 누군가가 가까이 다가 올때 사람의 눈은 자동적으로 대부분의 배경을 제거하고 .. 풍요의 삶/사진공부 2013.05.07
도시의 밤 풍경 담기 자료출처:줌인 http://www.zoomin.co.kr/webzine/zn_webzine_view.asp?nSeq=2846 도시의 밤 풍경 담기 분주한 삶의 터전인 도시는 밤이 되면 새로운 옷을 입고 태어난다. 도시의 밤이 표현하는 형용색색의 다양한 칼라는 매력적인 촬영대상이면서 접근하기 어려운 소재이다. 화려한 도시의 밤 풍경을 담는 .. 풍요의 삶/사진공부 2013.05.07
[스크랩] 겨울철에는 야경 촬영을 해보자 추운 겨울날 촬영하실꺼 별로 없으시죠? 그럼 긴긴 겨울밤을 야경과 함께 해보세요~ 겨울에는 차가운 기운과 넓은 시야율로 인하여 좋은 야경 사진을 많이 만드실수 있습니다. ■ 쨍한 야경을 만드는 팁 노출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조리개 우선모드이든 수동모드이든 촬영자의 주관에 .. 풍요의 삶/사진공부 2013.05.07
추억의 국민학교 시절 국민학교 입학식 코 닦는 손수건 가슴에 매단 하얀 손수건 지금의 대다수의 학생들은 유치원에서 기본적인 교육을 받고, 나아가 기초적인 학습도 이미 사교육에서 마치고 학교에 입학하지만 우리가 학교에 입학하던 때는 학교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가르쳐야 했던 시절..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3.04.13
옛 추억의 농촌 풍경 옛 추억의 농촌 풍경 예전엔 집에서 탈곡을 하였기 때문에 집주위가 엉망이죠~ 어릴적 탈곡한 집단을 날랐었죠~소먹이(여물)로사용 하였답니다. 보리타작 콩타작은 도리깨로 하엿답니다. 콩타작을 하엿나 봅니다. 잔일들이 많죠~ 바람을 일으키는 풍로가 있엇는데 안보이는것 보면 60년.. 풍요의 삶/역사,추억이야기 2013.04.13
뱃살 ‘쏙’ 줄이는 생활습관 7계명 규칙적인 식사ㆍ운동 등… 배에 살이 쪄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B%B3%B5%EB%B6%80%EB%B9%84%EB%A7%8C&nil_profile=newskwd&nil_id=v20130223115006927" target=new>복부비만이 되면 건강에 여러모로 좋지 않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지난 2011년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 풍요의 삶/건강 상식 201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