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탄생 시키는 프로젝트 나를 탄생 시키는 프로젝트 인생은 유유한 강물이다. 그것은 수많은 변천과 사연을 담고 흐른다. 작은 계곡의 졸졸거리는 샘물로부터 시작하여, 아홉 계곡의 급한 물살이 힘차게 모여 커다란 계류로 흐르다 천길 낭떠러지를 내려 떨어지고, 이윽고 거대한 강이 되어 눈부신 모습으로 바다로 빠져드는 .. 내면의 삶/CEO리더십 2007.11.27
구글 창의력의 비밀 - 20:80 법칙 구글 창의력의 비밀 - 20:80 법칙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1일 월례사에서 미국 구글의 ‘구글 스카이’ 서비스를 극찬했다. 천체 망원경 없이도 안방에서 인터넷을 통해 1억 개 별, 2억 개의 성운을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는 이 서비스가 ‘창조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낸 대표적 사례’라는 .. 내면의 삶/CEO리더십 2007.11.27
성공을 가로막는 성격12가지 1. 커리어 고소 공포증 능력과 위치에 비해 자아가 왜소한 사람이다. 이런 결점을 가진 사람의 특징은 너무 겸손하고 신중하다는 것이다. 지나치게 잘난 척하는 것도 문제지만 이 유형처럼 있는 것조차 보여주지 못한다면 성공할수 없다. 이런 사람들은 어느 정도 자리가 높아지면 증세가 심해진다. 결.. 내면의 삶/CEO리더십 2007.11.26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 7가지 습관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 7가지 습관 1. 자신을 잘 관리하라 항상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라. 최고의 컨디션은 기쁨과 감사하는 마음과 사랑스러움이다. 2. '3비'를 절대 금하라 '3비'란 비난, 비판, 불평을 말한다. 링컨의 성공비결은 절대 비판하지 않고 불평하지 않는 것이다. 3. 정중한 예의를 .. 내면의 삶/인간관계훈련 2007.11.26
성공법칙 7가지 vs 실패법칙 7가지 우리는 ‘성공하기 위한 00가지 전략(지혜)’ 따위의 글을 읽거나 스크랩하길 즐긴다. 그런 글을 읽으면 금세 성공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그 좋은 ‘조언’이 실제 우리의 일상을 바꾸어 주지는 못한다. 돌아서면 자신의 실제 삶과 상관없는 '지식'이기 때문이다. 지식 그 자체가 행동을 변화시키고.. 내면의 삶/CEO리더십 2007.11.26
성공의 법칙 1. 건강 관리 9가지 방법 2. 고민 해결 3가지 방법 3. 기회 포착 6가지 방법 4. 낙천적 성격관리 5가지 방법 5. 원만한 대인관계 유지 10가지 방법 6. 마셜필드의 성공의 법칙 7. 목표 설정 5가지 요소 8. 목표 설정 4가지 방법 9. 문제 해결 8가지 방법 10. 사람을 움직이는 3가지 대원칙 11. 사업에 성공하는 4가지.. 내면의 삶/CEO리더십 2007.11.25
나르시시즘의 심리학-샌디호치키스 나르시시즘: 자기애라고 알고 있던 나르시시즘은.. 대략 생후 12-36개월의 기간에 사랑받는 것에 대한 확신의 결여, 나와 너의 경계개념의 부재, 과도한 억압, 질투심 이런것들때문에 생긴다고한다. 특성은 물론 자기 중심적 태도이지만, 그외로도 자기가 불완전하고 무의미한 존재라는 느낌을 회피하..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25
게슈탈트 법칙 게슈탈트의 요인(要因)이라고도 한다. M.베르트하이머가 처음으로 제기한, 주로 지각심리학 영역에서의 중요한 법칙이다. 특히 시지각(視知覺)에서 군화(群化)의 문제와 관계가 있다. 이 법칙은 근접의 법칙, 유동(類同)의 법칙, 폐합(閉合)의 법칙, 좋은 연속의 법칙, 좋은 모양의 법칙 등을 포함한다.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21
과잉 일반화 확고하게 생각하고 있는 사고나 변하지 않는 원칙이 근거가 풍부하지 못하고, 한두의 사례를 통해 결론을 내린다. 이때 내려진 결론은 꼭 부정적인 방향의 것이 아니라는 면에서 부정적 예측과는 차이가 있다. 그 외에도 부정적인 예측에 비해서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이 과잉 일반화의 특성이라고 할 ..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21
행동주의 개관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행동의 대부분은 학습되거나 학습에 의해 수정된다는 기본전제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학습이론이라고도 불린다. 행동주의 이론은 인지, 감각, 본능 등과 같은 개념은 내성적이고 관념적인 것들로 과학적 연구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자극과 반응에 의해 학습 또는 수정되.. 내면의 삶/상담심리학 2007.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