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의 삶/북한 풍경사진

평양의 봄(2017년)

예인짱 2019. 2. 14. 11:57

중년 한 쌍은 2017년 4월 10일 평양 노동일이 끝날 때 북한 수도를 가로 지르는 대동강 옆에 앉아 있다.

이번 주 북한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주 평양의 행사를 보라. 퍼레이드(parade, 열병)부터 도시의 새로운 구역에 헌정된 개회식에 이르기까지.
토요일은 북한 김일성 주석의 탄생 105 주년을 맞아 새로운 탄도 미사일을 갖춘 군사 퍼레이드를 선 보였다.

 

2017년 4월 15일 평양에서 김일성 탄생 105주년을 기념하는 군사 퍼레이드(행진)에서 북한의 창시자인 김일성과 김정일 국방 위원장 동상 앞에 깃발을 든 북한 상류층 젊은이들.[북한 상류층 젊은이들이란 북한 의무교육(무상교육)전체 중학교 졸업자 중 개인의 능력에 따라 유상교육 대학을 진학하는 30% 이내 북한 젊은이들]

 

2017년 4월 12일 평양에서 김일성 광장 앞에서 친구를 기다리는 동안 전통 의상을 입은 북한 여대생들(소녀들)은 서로 껴안고 있다.

 

군사 트럭은 2017년 4월 13일 북한 통치의 아버지이자 할아버지인 김일성 탄생 10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평양을 경유하여 군인들을 수송한다.

 

2017년 4월 15일 북한의 김일성 탄생 105주년을 기념하는 군사 퍼레이드(행진)에서 북한 군인들이 행진하며 외치고 있는 모습이다.

 

군 관계자들은 2017년 4월 14일 김일성 전주석이 태어난 평양 외곽의 만경대를 방문한다.

 

북한 주민들은 2017년 4월 11일 평양에서 요즘 주택개발 구역 여명거리를 지나 걸어 가고 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2017년 4월 13일 평양의 여명거리 신축 주거단지 개막식에서 전통 의상을 입은 여성들이 북한 군인들을 지나쳐 걷는다.

 

사람들은 평양의 여명거리 (Ryomyong Street)에 새로운 주거 지역을 개업하는 의식을 기다린다.

 

사람들은 2017년 4월 13일 평양의 여명거리에서 개장식을 거쳐 신축 된 주거 단지를 구경 하였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2017년 4월 12일 평양 중부의 신축 지역에서 버스를 탄다.

 

북한 교통 경찰 여성은 2017년 4월 11일에 선남 국제 공항의 진입로에서 교통을 지시하면서 실루엣(silhouette, 윤곽 이나 그림자)으로 보입니다.

 

 

2017년 4월 14일 평양에서  북한의 학교 아이들이 만경대 어린이 궁전에서 공연을 할때  우주 발사체의 이미지가 스크린에 투영된다.

 

북한 인민군은 2017년 4월 13일 공식 개막식에 참석 한 직후 12채 이상의 아파트 건물이 모여 사는 임대용 주거 지역을 걷는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2017년 4월 12일 평양 중앙에 있는 김일성과 김정일 북한 지도자 동상 앞에서 북한 주민들이 청소를 하고 있다.

 

2017년 4월 15일 평양에서 창건 된 김일성 탄생 105주년을 기념하는 군사 퍼레이드에서 북한 주민들이 행진하고 있다.

북한정부의 각종 행사나 모임에 동원 되는 북한 주민은 대부분 북한 상류층(부유층)들이다

 

국영자본체제 북한(자료)

1인당 GDP(국민소득) 583달러(2012년도)로 채무불이행 국영자본체제 북한

1.국영자본체제는 국가가 운영하는 자본주의(국영기업)를 의미한다

북한정부도 토지이외 모든 물건(주택이나 상가, 자동차등) 개인 소유를 인정하고 있으며 평양시내 아파트 매매를 허용하고 있다 토지는 국가나 협동농장 소유이다 북한 평양시민 중 경제적으로 풍요한 사람은 개인 소유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으며 중국인이나 외국인 투자가들도 상가나 고급 아파트등을 소유하고 있는 분도 많다 북한이 개혁 개방화 될 수록 임대 아파트보다는  개인 소유 아파트가 늘어날 것으로 본다

 

평양 시내  상류층과 평민층, 빈곤층등의 빈부격차도 심각하다

북한 주민 계층은 상류층, 평민층, 빈곤층(식량난이나 영양실조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북한 상류층 30%이내이며 평민층 70%, 평민층 중 빈곤층 33%이내: 북한의 배고픈 사람들(식량난과 기아위기 주민들)이 1990년대  초반 420만명, 중반 700만명이었고  긴 식량 위기의 10 년 후, 2007 년까지 북한  전체 주민의 33 %, 즉 780만명이 영양실조 상태이다]

북한은 교육, 의료, 주거의 무상화를 실시하고 있다고 칭하고 있지만 북한 경제 빈곤화로 실업자나 빈곤층에게는 교육,의료, 주거등의 무상화가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북한 주민은 상류층과 서민층(평민층)으로 구분 돼 있고 서민층(평민층) 중에는 식량위기 계층 빈곤층이 전체 주민 33%이다

 북한은 계획 경제를 실행하고 있지만 의식주(衣食住), 외출이나 쇼핑에는 (입장권·승차권 등의) 표, 상표권과 돈이 필요하다. 교육,의료,주거 무상화로 직원 급여가 아니라 생활비만 지급된다. 주택(주거)도 개인소유를 인정함으로 점차 사유화 돼 가고 있다

2.북한 남녀징병제 국가로 남자 10년간, 여자 7년간 군 복무

공식적은 북한 군은 120만명이다. 실질적으로 군복무를 하고 있는 수는 한국과 비교했을 때 절반 이상인 70만명이 많다. 북한의 나머지 군인들은 민간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이 민간 업무란 양돈, 어획, 광산, 공장 등에서 일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무임급으로 일을 시키는 것이다

북한 무상교육 중학교 졸업생 중 30%이내 학생들이 개인의 능력과 유상교육기관 대학에 진학한다

중국은 직업군인 지원 모병제이지만 북한은 남녀 징병제국가로 중학교 졸업 후 남자는 10년간, 여자는 7년간 현역군인이나 다른 군복무형태  직장 등지에서 군복무를 해야 한다

통계에 따르면, 2012년 북한 인민군 병사의 수는 120만 명으로 이 중 여성 군인은 15% 약 17만명에 달했다. 북한의 인구는 약 2400만명으로 1000명에 7명이 여성 군인, 인민군 군인 100명에 15명이 여성 군인 ​​셈이다

북한정부는 북한 아동들의 영양부족으로 인민군 입대 신체 조건을 "키 138cm이상, 몸무게 43Kg 이상"으로 실행하고 있다

14세때 징병명부 등록, 15세때 신체검사, 16세부터 인민군 입대를 하고 있다

병역 근무 자리 비리가 북한 군부내 가장 큰 비리로 알려지고 있다 

매관행위는 인민군을  감시하는 총정치국 정치 지도원이라는 유리한 자리에는 5 천 ~ 2 만 달러 (약 50 만 ~ 200 만 원), 지방 관리는 약 5 천 중국 위엔화 (약 8 만원)에 직위를 사고 파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소식통은 "공직에 붙으면 뇌물을 받을 처지에 놓이게 1주일에 의거을 회수 할 수 있다고 된다"고 말했다

현역군인이나 군(軍) 경력이 없으면 원칙적 북한 노동당 당원이 될 수 없다

북한 노동당 당원은 군인이다[先軍정치와 국방위원회]

북한은 14세가 되는 해 징병대상자로 등록된 후, 16세 때 징병검사를 받는다. 이듬해 17세에 정식으로 입대한다. 복무기간은 남성 보병부대 10년 특수부대 13년, 여성 보병부대 5년 특수부대 7년. 복무 중 의무적으로 경제활동에 투입되므로, 북한 인민군은 농업, 공업과 공공기업체 기능도 겸하고 있다. 이들은 제일 거대한 생산집단이며, 동시에 소비집단이다. 전역 후 계급에 상관없이 60세까지 예비역으로 복무한다. 2000년대 들어 병무행정이 원활히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단, 대학입시를 통해 대학에 들어가거나 예술가, 운동 선수, 징병검사를 통한 심신 상태나 자질 문제가 있는 사람은 징병되지 않는다. 징병되지 않는다고 다 같은 대우를 받는 것이 아니다. 예술가와 운동선수는 장교에 준한 대우를 받는 반면 심신 또는 자질에 문제가 있어서 징병되지 않은 사람은 적대계층으로 분류되어 평생 차별을 당한다

3.제3공화국 헌법과 자영업

북한정부도 토지이외 모든 물건(주택이나 상가, 자동차등) 개인 소유를 인정하고 있으며 평양시내 아파트 매매를 허용하고 있다 토지는 국가나 협동농장 소유이다

북한에 자영업이 늘고 있다. 1990년대 장마당 상인으로 출발한 자영업자들이 숙박업, 개인 버스, 사금융업, 아파트 매매 등으로 활동을 넓히면서 북한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북한에 ‘돈주’로 불리는 신흥자본가 그룹이 생겨나고 있다고 영국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이 통신은 지난 10월29일 평양발 기사에서, “돈의 주인이라는 의미의 돈주가 외화를 써가며 비공식 경제를 이끌고 있다”고 전했다.

‘돈주’는 1990년대 후반 발생한 ‘고난의 행군’의 산물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당시 배급이 중단되고 국영상점이 문을 닫자 주민들은 너도나도 장마당으로 나와 장사를 했는데 이를 통해 돈을 번 사람들이 바로 돈주라는 것이다.

"써비차는 개인이 하는 운송, 버스, 택시 이런 건데, 사람도 싣고 짐도 싣고, 경제난 이후 개인들이 먹고 살려고 만든 건데, 이것 없이는 이동을 못해요.”

이밖에 숙박업자, 노래방 업자, 비디오 촬영업자, 매대 분양업자도 생겨난다

4.북한 부채 140억달러

미 재무부에 따르면 북한은 현재 30여개국에 140억달러의 빚을 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별 부채 규모는 1위 중국( 69억8000만달러), 2위 러시아(10억1000만달러), 3위 일본(3억달러), 4위 스웨덴 (3억3000만달러), 5위 이란(3억달러)과 독일(3억달러), 6위 프랑스(2억8000만달러), 7위 태국 (2억6000만달러), 8위 오스트리아(2억1000만달러), 9위 시리아(1억4000만달러), 10위 스위스 (1억달러), 11위 대만(8600만달러) , 12위 이라크 (5000만달러) 등이다

김일성과 김정일은 인민회의정부 인민민주주의를 포기하고 1970년대 국가사회주의, 군국주의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으로 인민경제 파탄 일인 장기집권과 가족주의 권력 세습제 좌익군사독재정부를 수립했다

또한 1980년대에는 국채를 대량 발행하고 외국에 엄청난 빚을 졌는데 이 때문에 북한의 경제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게다가 북한은 이 부채를 갚을 티끌만큼의 노력도 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통일이 되면 남한이 이 부채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중국은 군사 및 경제 원조 등으로 북한 전체 부채 절반 수준 69억8000만달러이다

5.북한 영화는 우리식 사회주의 김일성노선으로 군대 방식으로 관리 운영하고 있으며 남한 사람이나 서양사람은 적국으로 묘사하고 있다

영화는 정치 선전물로 입장료는 무료이다

북한 영화는 예술성이 없고 권력의 시녀이다

북한 사람들은 영화를 보는 것을 좋아하지만, 어떤 영화도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며 정치 선전에 적합하여야 한다.

북한 영화의 촬영은 군의 관리 방법으로 운영하고 있다. 출연자가 하는 말과 시간이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풍요의 삶 > 북한 풍경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비 내리는 평양   (0) 2019.02.14
세계의 도시, 평양  (0) 2019.02.14
평양의 여름  (0) 2019.02.14
쌍안경의 렌즈를 통해 보는 북한  (0) 2019.02.14
신의주 주민들 모습  (0) 2019.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