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같은 부모 >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부모에게서 사랑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아이가 느낄 경우
이상성격이 형성되거나 좋지 않은 버릇으로 나타나는 것을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부모가 자신을 충분히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아이가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를 자주 안아주고 아이가 흥미 있어 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물어주는 것은 물론
장난감을 가지고 같이 놀아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부모는 아이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며
아이의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방침을 세울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사랑을 표현하는 데도 방법상의 다양함이 있을 수 있다.
무조건 아이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 아이가 해달라는 대로 모든 것을 허용하는 태도나
내 아이가 최고라는 생각으로 자만심만을 잔뜩 넣어주는 태도 등은
자녀를 사랑하는 올바른 태도라고 볼 수 없다.
아이와 대화의 통로의 열어야 한다.
4세 무렵이 되면 아이는 질문이 많아지고 호기심도 부쩍 늘어
어른이 대답하기 곤란한 것이나 귀찮은 것까지 물어오게 된다.
이때에는 아이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성실히 대답해주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귀찮아하거나 무시하는 듯한 태도는
아이에게 부모에게서 거부당하고 있다는 인상을 심어주어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지 못하는 내성적이고 자신감 없는 아이로 자라나기 쉽다.
특히 아이와의 대화에는 많은 인내심이 필요하다.
아이는 이해하는 속도도 느릴 뿐 아니라 아이의 말을 제대로 알아듣기도 힘들다.
그러므로 어른들 사이라면 10분이면 될 대화도 아이들과는 1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아이가 잘못했을 경우 아이의 잘못을 일방적으로 나무라기보다는
왜 그런 잘못을 했는지 그 동기를 물어보고 심정을 충분히 헤아린 다음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이 서로간의 신뢰를 쌓는 일이다.
이런 과정을 거치다보면 아이와 쉽게 대화가 통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 시기 아이들에게 부모 이상 가는 좋은 친구는 없다.
<교사로서의 역할도>
부모는 아이의 지능발달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미친다.
지능은 선천적인 부분도 있지만 유아기의 지능개발교육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발달단계를 먼저 파악한 후
그에 적절한 놀이법 학습과 개발로 능력 있는 교사로서의 역할까지 맡아야 하며
유치원이나 학교에 보낸 이후에도 가정과 학교의 연계교육을 위한 가정 내의 교사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부모들 중 여러 가지 놀잇감이나 학습지로 아이의 지능개발에는 최선을 다하면서도
의식하지 않고 하는 말이나 행동에서 아이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있다.
아이는 일상생활 전체가 학습과정이며 쉽게 익히고 따라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부모는 항상 아이 앞에서 언행을 주의해야 한다.
그렇다면 주의해야 할 언행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의사표시는 분명히 해야 한다>
가정에서 부모가 나누는 대화 중에 흔히
'알아서 하라' '적당히 해라' '아무거나' 등의 말을 쉽게 하곤 한다.
이런 행동은 아이에게도 그대로 영향을 미쳐
의사를 분명히 표현하지 못하는 성격이 되기 쉽다.
매사에 갖고 싶은 것, 먹고 싶은 것을 확실하게 지목해 말할 수 있도록
부모가 먼저 이런 태도를 갖춰야 한다.
<자녀와의 약속은 반드시 지킨다>
아이와의 약속을 하찮게 생각하는 부모는 아이에게서 신뢰를 얻을 수 없다.
아무리 사소한 약속이라도 반드시 지킬 수 있는 것만 말하고
또 반드시 지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부모부터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서 아이에게 어떤 행동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한 강요에 지나지 않는다.
<부모도 취미생활을 갖는 것이 좋다>
회사에서 돌아오면 밥 먹고 TV 보다가 자는 아버지의 모습
하루종일 빨래에 설거지에 분주한 어머니의 모습은
아이에게 부모를 존경하는 마음을 가질 수 없게 한다.
이는 곧 교사로서의 자격상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부모도 각자 취미생활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책을 읽는다든지 바둑을 둔다든지 하면서 무언가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각자 흥미 있어 하는 주제들을 놓고 대화를 나눠보는 것도
아이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이 된다.
<다른 사람의 험담을 늘어놓지 않는다 >
무의식중에 다른 사람의 험담을 늘어놓는 것은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이런 대화 속에서 아이는 다른 사람을 깔보게 되는 생각을 갖기 쉽다.
함께 TV를 보거나 사람을 대했을 때 비난하는 식의 비판을 하기보다는
'왜' 안 좋게 생각하는지를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어떠한 경우라도 사람 그 자체를 비난하는 식의 태도는 좋지 않다.
누구에게나 장점과 단점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고
잘못된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서만 지적하도록 해야 한다.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부모에게서 사랑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아이가 느낄 경우
이상성격이 형성되거나 좋지 않은 버릇으로 나타나는 것을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부모가 자신을 충분히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아이가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를 자주 안아주고 아이가 흥미 있어 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물어주는 것은 물론
장난감을 가지고 같이 놀아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부모는 아이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며
아이의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방침을 세울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사랑을 표현하는 데도 방법상의 다양함이 있을 수 있다.
무조건 아이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 아이가 해달라는 대로 모든 것을 허용하는 태도나
내 아이가 최고라는 생각으로 자만심만을 잔뜩 넣어주는 태도 등은
자녀를 사랑하는 올바른 태도라고 볼 수 없다.
아이와 대화의 통로의 열어야 한다.
4세 무렵이 되면 아이는 질문이 많아지고 호기심도 부쩍 늘어
어른이 대답하기 곤란한 것이나 귀찮은 것까지 물어오게 된다.
이때에는 아이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성실히 대답해주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귀찮아하거나 무시하는 듯한 태도는
아이에게 부모에게서 거부당하고 있다는 인상을 심어주어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지 못하는 내성적이고 자신감 없는 아이로 자라나기 쉽다.
특히 아이와의 대화에는 많은 인내심이 필요하다.
아이는 이해하는 속도도 느릴 뿐 아니라 아이의 말을 제대로 알아듣기도 힘들다.
그러므로 어른들 사이라면 10분이면 될 대화도 아이들과는 1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아이가 잘못했을 경우 아이의 잘못을 일방적으로 나무라기보다는
왜 그런 잘못을 했는지 그 동기를 물어보고 심정을 충분히 헤아린 다음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이 서로간의 신뢰를 쌓는 일이다.
이런 과정을 거치다보면 아이와 쉽게 대화가 통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 시기 아이들에게 부모 이상 가는 좋은 친구는 없다.
<교사로서의 역할도>
부모는 아이의 지능발달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미친다.
지능은 선천적인 부분도 있지만 유아기의 지능개발교육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발달단계를 먼저 파악한 후
그에 적절한 놀이법 학습과 개발로 능력 있는 교사로서의 역할까지 맡아야 하며
유치원이나 학교에 보낸 이후에도 가정과 학교의 연계교육을 위한 가정 내의 교사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부모들 중 여러 가지 놀잇감이나 학습지로 아이의 지능개발에는 최선을 다하면서도
의식하지 않고 하는 말이나 행동에서 아이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있다.
아이는 일상생활 전체가 학습과정이며 쉽게 익히고 따라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부모는 항상 아이 앞에서 언행을 주의해야 한다.
그렇다면 주의해야 할 언행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의사표시는 분명히 해야 한다>
가정에서 부모가 나누는 대화 중에 흔히
'알아서 하라' '적당히 해라' '아무거나' 등의 말을 쉽게 하곤 한다.
이런 행동은 아이에게도 그대로 영향을 미쳐
의사를 분명히 표현하지 못하는 성격이 되기 쉽다.
매사에 갖고 싶은 것, 먹고 싶은 것을 확실하게 지목해 말할 수 있도록
부모가 먼저 이런 태도를 갖춰야 한다.
<자녀와의 약속은 반드시 지킨다>
아이와의 약속을 하찮게 생각하는 부모는 아이에게서 신뢰를 얻을 수 없다.
아무리 사소한 약속이라도 반드시 지킬 수 있는 것만 말하고
또 반드시 지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부모부터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서 아이에게 어떤 행동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한 강요에 지나지 않는다.
<부모도 취미생활을 갖는 것이 좋다>
회사에서 돌아오면 밥 먹고 TV 보다가 자는 아버지의 모습
하루종일 빨래에 설거지에 분주한 어머니의 모습은
아이에게 부모를 존경하는 마음을 가질 수 없게 한다.
이는 곧 교사로서의 자격상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부모도 각자 취미생활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책을 읽는다든지 바둑을 둔다든지 하면서 무언가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각자 흥미 있어 하는 주제들을 놓고 대화를 나눠보는 것도
아이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이 된다.
<다른 사람의 험담을 늘어놓지 않는다 >
무의식중에 다른 사람의 험담을 늘어놓는 것은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이런 대화 속에서 아이는 다른 사람을 깔보게 되는 생각을 갖기 쉽다.
함께 TV를 보거나 사람을 대했을 때 비난하는 식의 비판을 하기보다는
'왜' 안 좋게 생각하는지를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어떠한 경우라도 사람 그 자체를 비난하는 식의 태도는 좋지 않다.
누구에게나 장점과 단점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고
잘못된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서만 지적하도록 해야 한다.
'내면의 삶 > 자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 교육을 위한 명언 (0) | 2007.05.22 |
---|---|
^*^엄마! 이런말은 하시지 마세요^*^ (0) | 2007.05.22 |
소리를 지르는 순간 교육은 끝! (0) | 2007.05.22 |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주는 부모의 칭찬 (0) | 2007.05.22 |
^*^사춘기 자녀와의 효과적인 대화법^*^ (0) | 2007.05.22 |